DPF를 달면 뭐가 좋은지 글을 쓴 적이 있었습니다.
DPF 장착 장점 3가지 (미세먼지 저감장치를 장착하면 좋은 점 !!!!!)
1. 배출가스를 줄일 수 있다. DPF를 장착하는 목적은 단 하나입니다. 배출가스를 억제하는 것이죠. 차량 매연으로 발생하는 먼지를 분명히 줄여줍니다. 대도시의 공기질이 안 좋은 것은 사실이고,
liberate.tistory.com
이 글에서 얘기했던 DPF 장착의 3가지 장점은 요약하면,
1. 배출가스를 줄일 수 있다.
2. 노후경유차라도 통행 제한없이 운행할 수 있다.
3. 환경개선부담금과 배출가스 검사가 면제된다.
...였습니다. 사실 이 장점들은 잘 생각해보면 문제가 좀 많습니다. 실질적은 장점은 사실 3번만 있는 것이죠.
2번의 노후경유차 통행제한에 대해서는 할 말이 많습니다. 통행 제한은 관련당국이 지정하지 않으면 되는 일입니다. 애초에 그런 규제는 없었고, 경유차가 가장 큰 미세먼지의 요인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다툼의 여지가 있습니다. 이제 미세먼지가 조금 나아지니, 기후대책의 일환으로 배출가스 규제를 이야기합니다. 노후경유차가 얼마나 환경 문제에 기여하는지 정확한 측정이나 데이터를 얻기 전에 그냥 그럴 것 같다는 느낌만으로 규제 정책이 들어옵니다.
노후 경유차에 DPF를 장착하는 것은 배기라인에 억지로 손을 대는 일입니다. 사진처럼 없던 용접부가 생깁니다. 애초에 설계된 차량의 구동방식에 없던 새로운 부하를 걸게 되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부자연스러운 일입니다.
가장 먼저 장점으로 적었던 1번 배출가스 저감효과에 대해서도 반론의 여지가 있습니다. DPF는 잘못 관리하고 적절한 재생이 일어나지 않을 경우 DPF 자체가 터질 수도 있습니다. 말그대로 미세한 필터의 망이 뚫리는 것이죠. DPF 장착 차량의 숫자가 배출가스 저감에 중요하겠지만, 장착 차량의 DPF 관리 상태가 실질적인 배출가스 저감에 더 필수적인 일입니다. 아마도 정부의 의도는 실제로 DPF 장착을 장려하는 것보다 조기폐차로 유도하려는 것이었다고 생각합니다.
Part II 에서는 제가 지금까지 받았던 자동차 검사 결과를 보여드리고 DPF 장착이 배출가스 저감에 실질적인 효과가 반드시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드릴 생각입니다. 곧 업로드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디젤의 뒤안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5등급 차량의 길: 저감장치 (DPF)를 달면 배출가스가 줄어들까? part 7 (0) | 2021.05.13 |
---|---|
5등급 차량의 길: "저공해조치 명령서" part 5 (0) | 2021.04.26 |
5등급 차량의 길: DPF 장착 장점 3가지 (미세먼지 저감장치를 장착하면 좋은 점 !!!!!) part 4 (0) | 2021.04.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