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운영

티스토리 블로그로 구글 애드센스 광고 수익, 첫 지급 받았습니다.

by 불곰맨발 2022. 11. 1.
반응형

블로그 운영을 2년을 하고 나서야 이제 첫 광고 수익을 지급받았습니다. 구글 애드센스 지급은 애드센스 홈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도 은행에 확인해보고 알게되었는데, 외화 계좌가 아니더라도 원화로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애드센스에 지급일이 찍힌 날 바로 입금되는 것은 아니고, 며칠 기다려야 합니다. 저는 한 5일만에 들어온 것 같네요.

2년만에

실제로 계좌에 찍히는 것을 보면, 구글 아시아 입금 항목으로 찍혀나옵니다. 달러-원 환율이 1400원대가 넘어가서 적용된 것을 알 수가 있네요. 처음에는 구글 애드센스에서 지급이 끝난 것으로 표시되는데 계좌에서 입금은 확인이 되지 않는 기간이 있기 때문에, 뭔가 또 오류가 생겨서 광고수익을 날려먹은 것이 아닌가 하는 걱정을 하기도 했습니다만, 며칠 기다리니 정상적으로 잘 들어와 있더군요. 참고로 저는 블로그 애드센스 수입은 법인 계좌를 통해 받고 있고 구글 애드센스 지급 계정에 회사명을 잘 적어주면 문제는 없는 것 같습니다. (주의할 점은 영문으로 입력하지 않으면 애드센스 화면에서 지급자 성명 오류로 인식하기 때문에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가 없습니다.)

"GOOGLE ASIA PA(cific)"

오해는 안 하셔야 합니다. 이렇게 오래 걸린 것은 블로그가 제 주요 생계 수단이 아니기 때문이지 2년보다 훨씬 짧은 기간에 수익화에 성공하시는 분들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블로그 운영에 문제가 있는 것은 분명합니다. 심지어 이 수익이 블로그 하나가 아니고, 두 블로그에서 들어온 수입을 합친 것이기 때문에 결코 수익화 속도가 빠른 효율적인 블로그 운영이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애드센스 계정 승인 받을 때와 다르게 글을 많이 업로드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기도 하고, 일단 워낙 블로그 주제 자체가 포지션이 애매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본격적인 자동차 블로그라고 하기에 신차 리뷰나 자동차 용품 리뷰 같은 활동을 하는 것도 아니고, 반성할 점이 많죠. 한 달에 10 달러 정도의 소액 블로그에 지나지 않습니다. 꾸준하긴 하지만 설렁설렁 블로그를 운영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수익이 어느 정도인지를 가늠해보시면 좋겠습니다. 

생각이 많아집니다.


블로그 자체를 키우겠다라는 생각이 아예 사라진 것은 아니지만, 현재의 방식을 고수하면서 티스토리 플랫폼만을 유일한 채널로 성장을 추구하는 것이 저랑 잘 맞는지는 모르겠습니다. 막판에 10월의 카카오 사태도 한 몫 한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를 가지고 카카오를 탓하기 전에 블로그 운영을 카카오 티스토리 단일 채널로 유지하고 있는 운영 방식을 다시 생각해볼 때 인 것 같습니다. 

사실 이런 생각을 한지는 오래되었습니다. 22년 들어서 포스팅 횟수가 예전 같지 않은 것은 그 망설임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업무 이동이 너무 많아지면서도 한 편으로 블로그의 모호한 방향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었고, 광고대행업과 미디어컨텐츠업을 업종으로 추가하여 사업을 하고 있는 이상 어정쩡한 운영을 하면 안 된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거든요. 생각해서 준비한 컨텐츠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좋은 정보를 열심히 전달하도 보면 구독자와 광고 수익이 늘겠지라는 생각은 지금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결과를 낳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정보만을 전달하는 채널은 잘못하면 위키나 뉴스 기사와 구분이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계좌에 찍힌 수익을 보면 뿌듯합니다. 아주 작은 결실이지만, 그래도 여기까지 왔다는 생각에 기분이 좋은 것도 잠시, 앞으로의 운영에 대해서 고민을 하지 않을 수는 없습니다. 아마 다른 블로거 분들도 같은 고민을 하고 계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블로그의 플랫폼 다각화도 생각해야 하고, 컨텐츠가 정보 전달을 하면서도 약간은 자극적인 맛이 나서 많은 분들이 찾아오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광고 수익이라는 것이 트래픽이 많다고 무조건 수익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익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법도 마찬가지로 생각해봐야하구요. 고민할 게 많죠?

고민에 대한 답은 앞으로의 컨텐츠가 대신합니다. 블로거는 트래픽과 광고 수익으로 말해야겠지요.

728x90
반응형

'블로그 운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 휴식 끝  (1) 2024.04.08
블로그 운영하면서 내려놓은 것들  (0) 2022.07.28
브런치에 도전합니다.  (0) 2022.07.1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