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차 정비

모하비 주행거리 20만 킬로미터 초과, 비용들

불곰맨발 2024. 5. 6. 14:19
반응형

원래 계획대로라면 2023년쯤 19만 킬로미터를 넘겼을 때 지금 타고 있는 모하비를 처분했어야 계획에 맞습니다. 계속 20만 킬로미터 주행거리 미만의 차량 컨디션을 유지하면서도 중고차 가격을 방어하는데 그 정도가 유리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2024년 여름으로 돌입하는 이 시점에서 저는 20난 킬로미터를 훌쩍 넘겨 22만 킬로미터를 앞두는 상태에서도 이 차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원래 계획에서 달라진 점을 얘기해보려고 합니다.


2023년 모하비 가솔린 모델을 운용한지 2년 되는 시점에서 저는 고민했습니다. 결국 다음 세 가지 이유로 아직 같은 차량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1. 금리와 인플레이션
5% 수준의 60개월 전액할부가 들어가 있는 모하비는 제게 한 달에 30만원 가량의 차량 비용을 청구합니다. 여기에 유류비와 정비유지비가 들어가겠죠. 다른 유지비는 빼고, 차량의 월상환액만 생각해봐도 충분히 차를 안 바꿀만한 이유가 됩니다. 2023년 금리가 상승한 시점에서 동일한 조건으로 차량을 다른 걸로 바꿀 경우 금리는 아무리 좋은 조건이어도 최소 8% 수준에 달합니다. 월상환액을 맞추려면 상당한 자기 자본이 차에 투입되어야 맞출 수 있고, 이건 투자 자본을 유지하고 싶은 제 입장에서는 전혀 원하는 상황이 아닙니다. 

이제 상환도 꽤나 진행되어 제가 구매했던 가격의 40% 미만 수준으로 상환잔액이 떨어졌습니다. 대출의 구조를 알아보신 분들을 알겠지만, 월균등상환 방식의 자동차론 상품은 24, 36, 60개월 전체 기간에 대하여 초반에 이자를 더 많이 지불하고, 나중에 원금을 상환하는 방식으로 상환이 진행됩니다. 이 얘기는 지금 나머지 금액을 다 갚아봐야 이자를 줄이는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대출 방식에 대해서는 나중에 아예 분리된 다른 글에서 다루겠습니다. )

월상환액뿐만 아니라, 차량 전환시 들어가는 세금과 기본 정비비가 2년만에 다시 투입되어야 한다는 것도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이건 아래 3번 항목에서 좀 더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2. 유류비
이런 말을 하면 동의 못하시는 분들이 많을 것 같은데, 유류비가 버틸만 했습니다. 이전 글을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저는 타우 엔진이 탑재된 이 차량을 고급휘발유로 운행합니다. 고급휘발유 가격이 비싸기는 해도, 디젤이라고 해서 가격이 싸기만 한 것도 아닙니다. 장기적인 추세로 보면 디젤 가격은 가솔린 가격과 점점 격차를 좁히고 있습니다. 단기적으로 디젤로도 리터당 2000원 가까이 부담을 안 해 본것도 아닙니다. 정 현금 흐름이 안 좋거나, 유류비가 너무 비싸다고 느끼면, 고급휘발유와 일반휘발유를 7:3 정도 비율로 섞어 쓰는 방식으로 소비하면 버틸 수 있습니다. (옥탄가에 대해서도 별도로 다루는 글을 준비 중입니다.)

유류비가 비싸다면, 불필요한 운행을 줄이는 것이 정답이지 유종이 다른 차를 사는 것이 답은 아닙니다. 

3. 차량 전환 비용
무엇보다 공임과 부품 혹은 소모품의 가격이 모두 상승했습니다. 차라는 건 내구재이지만, 계속 지출되는 비용의 원천이 됩니다. 3년 미만에 차량을 처분하기에는 타이밍 벨트 작업까지 손 댄 이 차를 처분하는 것이 좀 아까웠습니다. 제가 아무리 예방 정비를 했다고 하더라도 그걸 중고차 시장에서 인정받기는 어렵습니다. 그리고 중고차 시장도 2022년 이후로 싸늘하게 식어 매물은 늘고 구매자는 적어졌습니다. 

중고차를 새로 가지고 오면, 적어도 엔진오일과 타이어는 무조건 손을 보게 됩니다. 그러기엔 지금까지 정비에 공을 들이고, 고급휘발유로 관리가 된 신뢰성의 가격이 너무 비쌌습니다. 지금도 엔진오일을 교체할 때마다 미션오일까지 체크하지만, 여전히 미션 오일의 상태에 문제가 없고, 무리 없이 자동차 검사를 통과했습니다.

결론적으로 내가 이미 다 만져 놔서 충분히 믿을 만한 차를 더 비싼 금리를 감수하고, 어떻게 될지 모르는 새 차를 들인다? 이게 합리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지금 남아 있는 상환이 끝나고 그 때도 차량에 무리가 없다면, 구동계와 엔진 마운트 같은 부품 수급이 문제가 되는 부분들이 해결하고 나서 튜닝을 해도 되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해보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